📌 상식과 다른 건강의 법칙?
우리는 흔히 말합니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뜻밖에도 "뚱뚱한 사람이 오히려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들이 등장하며,
이른바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라는 개념이 떠올랐습니다.
이 말이 진짜일까요? 혹은 착시일까요?
🧪 비만의 역설이란?
✅ 정의
**‘비만의 역설’**이란 일부 질병군(심부전, 당뇨, 신장질환 등)에서,
정상 체중(BMI 18.524.9)보다 과체중(BMI 2529.9)이나 경도 비만(BMI 30~34.9) 환자들이
오히려 더 낮은 사망률 또는 더 나은 예후를 보인다는 현상입니다.
즉, "뚱뚱한 사람이 병을 이기고 더 오래 산다"는 역설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는 것이죠.
📚 실제 연구 예시
- 심부전 환자 연구 (Lancet, 2005)
- BMI가 높은 환자군(25~35)이 심부전 진단 이후 생존율이 더 높음
- 저체중(BMI < 18.5) 환자들이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임
- 말기 신장질환 환자 연구 (NEJM, 2003)
- 투석 중인 환자 중에서 **과체중 이상(BMI ≥ 25)**인 환자들이 사망률이 낮음
- 이유: 체지방이 에너지원 역할을 하고, 만성 염증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
- 제2형 당뇨병 환자 연구
- BMI 25~30인 사람의 사망률이 가장 낮았고, 정상 체중군보다 더 좋은 생존율을 보임
- BMI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사망률이 증가
🤔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1. 대사적 보호작용
- 체지방이 질병 상태에서 에너지원 역할
- 급성 염증, 패혈증, 감염 상황에서 영양 공급원이 되어 면역력을 보존하는 효과
2. 근육량 효과 (근감소 비만 vs 기능적 비만)
- BMI는 지방과 근육을 구분하지 않음
- 일부 비만 환자는 근육량이 많아 회복력이 좋음 → ‘건강한 비만’
3. 병원 접근성과 조기 진단
- 비만 환자들은 병원을 더 자주 방문
- 만성질환이 조기에 발견되어 치료 성과가 더 좋을 수 있음
4. 역인과관계(BMI 감소 = 질병의 결과)
- 마른 사람은 건강해서 마른 게 아니라, 암, 만성질환 등으로 체중이 감소한 상태일 수 있음
- 질병으로 인한 체중 감소가 **혼동 변수(confounder)**가 될 수 있음
🚫 과연 모든 비만에 해당될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 ‘고도비만’은 여전히 위험
- BMI 35 이상인 고도비만자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조기 사망 위험이 매우 높음
❌ 건강한 사람에겐 해당 없음
- 비만의 역설은 대부분 질병이 있는 중장년, 고령층에 국한된 현상
- 건강한 일반인에겐 비만은 분명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
❌ ‘건강한 비만’은 일부만 해당
-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운동을 꾸준히 하고, 근육량이 높은 경우에만
‘건강한 비만(metabolically healthy obesity)’으로 분류 - 그러나 이 상태도 장기적으로는 대사 이상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음
✅ 결론: 뚱뚱해야 오래 산다? → 제한적 진실
비만이 항상 건강에 나쁘다 | ❌ 질병 환자에겐 예외적 상황 존재 |
모든 비만이 생존율을 높인다 | ❌ 고도비만은 생존율 낮춤 |
비만이 질병 예방에 도움된다 | ❌ 예방보단 질병 이후의 생존율과 관련 |
건강한 비만도 결국 위험할 수 있다 | ✅ 장기적 관점에서 위험 증가 |
▶ 요약:
비만의 역설은 정상 체중이 항상 가장 건강한 것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주지만,
그렇다고 비만이 건강에 이롭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건강을 위해선 근육을 유지하고, 적정 체중과 체지방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전략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담배는 냄새가 덜할까? 일반 담배와의 차이점 비교! (0) | 2025.06.24 |
---|---|
나도 할 수 있다 – 몸짱 만들기 5계명 (1) | 2025.06.16 |
건강을 지켜주는 좋은 수면 습관 7가지 (0) | 2025.06.04 |
[Tapiriik] 운동 기록, 여러 트래커에서 한 번에 동기화하는 꿀팁! (무료 웹 서비스 소개) (0) | 2025.06.04 |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항진증? 관련 증상과 영양 관리 TIP 알아보기!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