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지식

[CMD] pushd 사용법 – 자동 드라이브 매핑 쉽게 하는 방법

fjcs 2025. 6. 11. 17:05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네트워크 경로나 긴 경로로 이동할 때,
pushd 명령어를 활용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를 매핑하여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ushd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자동 드라이브 매핑 기능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pushd란?

pushd는 현재 작업 경로를 저장(push)하고, 새로운 경로로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특히 네트워크 경로(예: \\서버\공유폴더)로 이동할 때는 자동으로 임시 드라이브를 만들어 연결해 주는 기능이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 기본 사용법

pushd 경로

예) 로컬 경로 이동

pushd C:\Users\Username\Documents

이 명령어는 현재 경로를 스택에 저장하고, 지정한 경로로 이동합니다.


🌐 자동 드라이브 매핑 활용법

네트워크 공유 폴더 경로로 이동할 때 pushd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됩니다.

예) 네트워크 공유 폴더로 이동

pushd \\192.168.1.100\SharedFolder
  • 윈도우는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 문자(Z:, Y:, X: 등)를 자동 할당하여 연결해 줍니다.
  • 네트워크 경로에 바로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popd 명령어로 이전 경로 복귀

pushd로 이동한 후, 원래 경로로 돌아가고 싶다면

popd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popd는 pushd로 저장한 경로를 스택에서 꺼내 이전 위치로 복귀합니다.


💡 활용 팁

  • 배치 파일 작성 시 유용
    네트워크 폴더 접근이 필요한 배치 스크립트에서 pushd/popd를 사용하면 경로 관리가 쉽습니다.
  • 여러 경로를 번갈아가며 작업할 때
    여러 네트워크 폴더에 번갈아 접근할 때, 드라이브 문자 충돌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윈도우 cmd에서 네트워크 경로나 긴 경로로 빠르게 이동하고 싶을 때,
pushd와 popd 명령어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
자동 드라이브 매핑 기능 덕분에 훨씬 편리한 명령어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