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지식

구글 DNS 서버로 변경하여 차단된 사이트 접속하기 (Windows 기준)

fjcs 2025. 6. 10. 15:20

국내에서는 일부 사이트가 인터넷 사업자(ISP)에 의해 DNS 차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해외 커뮤니티나 외신 사이트가 "접속할 수 없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죠.

이럴 땐 구글 공개 DNS 서버로 설정을 바꾸면 간단하게 접속이 가능합니다.
속도 향상 및 보안 측면에서도 추천되는 방법이니 꼭 한 번 시도해보세요!


✅ 구글 DNS란?

  •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공용 DNS 서버
  • 속도 빠르고 안정적이며, 특정 사이트 차단 우회에도 활용됨
종류주소
기본 DNS 8.8.8.8
보조 DNS 8.8.4.4
 

🛠️ Windows에서 구글 DNS 설정 방법

1️⃣ 제어판 열기

  • 키보드 Win + R → 실행창에서 control 입력 → Enter

2️⃣ 네트워크 설정 열기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왼쪽 메뉴에서 "어댑터 설정 변경" 클릭

3️⃣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우클릭 → 속성

  • 이더넷 또는 Wi-Fi 중 현재 사용 중인 항목 우클릭 → "속성"

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TCP/IPv4) 선택 → 다시 속성 클릭

5️⃣ 아래와 같이 설정

  •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선택
    • 기본 DNS 서버: 8.8.8.8
    • 보조 DNS 서버: 8.8.4.4
     

✅ 입력 후 확인 → 다시 확인 → 창 닫기


🔄 DNS 캐시 초기화 (선택사항)

DNS 변경 후에도 기존 캐시로 인해 접속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명령어 한 줄로 간단하게 초기화할 수 있어요.

💻 방법:

  1. Win + R → cmd 입력 후 Enter
  2. 아래 명령어 입력:
 
ipconfig /flushdns

▶️ “Successfully flushed the DNS Resolver Cache.” 라고 나오면 성공!


🚫 주의사항

  • DNS 변경은 시스템 설정 차원의 변경이며, 보안상 위험하지 않습니다.
  • 다만, 불법 사이트 접속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정보 제공 및 합법적인 활용을 위한 내용임을 안내드립니다.

📝 정리

항목설명
DNS 변경 효과 사이트 차단 우회, 속도 개선
추천 DNS 구글 DNS (8.8.8.8 / 8.8.4.4)
설정 위치 제어판 > 네트워크 어댑터 > IPv4
추가 팁 DNS 캐시 초기화로 적용 확실히
 

 


✅ 마무리

구글 DNS는 속도 개선, 안정성, 그리고 제한 없는 인터넷 환경을 위해 많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정입니다.
이제 여러분도 쉽게 설정해서 더 빠르고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해보세요!